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9. 19世 〉33. <부정공>학생공휘진삼묘갈명(學生公諱鎭三墓碣銘)
1. 문헌 목록 〉19. 19世 〉35. <부정공>연당기(蓮塘記)휘병휴(諱炳休)
1. 문헌 목록 > 19. 19世 >  
34.<부정공>추연재기(愀然齋記)
愀然齋記 齋以愀然爲名志其怵惕惻隱之心而如見精靈之陟降也粤在 高宗戊辰三月先王考入葬于中興村后而算其歲年則距今恰己一周甲有餘矣不肖每以墓下無數間丙舍爲憂經營未果嗟嗟乎生此不辰忽値甲亂苟全性名何幸陰雲漸開天日復朗弟兄妻孥團聚和樂未幾年又逢戊擾東奔西走不遑啓處因而遷居于他鄉於焉十載衰且病而及此家計剝落前者經營恐歸為有然身己老路且遠不可擔使姪子文植賢勞而材則擇於邱木之可用者取之財則末由辦備思不獲己若干所餘土地放而塡費然後可以完大事此果出於事勢之無可奈何然愛其財而推諉於後日則畢竟財窮事亦隨而同去此所謂兩失悔之何及於是決意拓地斫木肯搆總四其架東西房室中二間廳堂制度之不儉不侈規模之且弘且遠以戒我子孫無怠無荒世世守成之意也齋成之日招文植謂曰汝今強壯之年設有掣肘於家務間間抛置而躬往周察或有雨漏之患或有崔穿之害隨而修之無至毀敗是所望也余則衰病轉劇符到在即雖欲從之未由也己後之登是齋者常思母忝貽模之意而灑掃室堂修葺棟宇傳之無窮庶斯齋之不朽此非善繼善述者乎既以吿先靈繼以示後孫謹爲之記繼之以詩曰 馬鬣墳高起一堂藹然孝思感時長精靈陟降常如在諸子登臨豈敢忘瞻彼松楸尤可敬履玆霜露倍堪傷守而不朽傳之遠來世我孫福祿昌 乙亥仲秋上澣 不肖孫 泳黙 記 추연재기(愀然齋記) 재를 추연이라 이름한 것은 두려워하고 근심하며 감창한 마음으로 정령(精靈)의 오르내림을 본 것 같음을 뜻한 것이다. 곰곰이 생각하니 고종(高宗) 무진(戊辰: 一八六八)년 三월에 선왕고를 중흥촌(中興村) 뒤에 장사하고 그 횃수를 헤아려 보니 이미 一년여가 되었는데 불초가 매양 재각이 없는 것을 근심하여 계획하다가 이루지 못하였다. 슬프도다. 이 어려운 때에 태어나서 문득 갑오(甲午) 동학란(東學亂)을 만나 구차히 성명을 온전히 하였더니 다행히 음산한 구름이 점점 걷히고 하늘에 해가 다시 밝아 형제와 처자가 단란하게 모여 화락하게 지내게 되었다. 몇 해 못 가서 또 무신(戊申) 의병소요(義兵騒擾)를 만나 동분서주 당황하여 가르쳐 처리할 겨를이 없이 타향에 이거하여 어언 十년이 되어 늙고 병들어 이에 이르렀는데 가산이 탕진하여 먼저 경영한 것이 허사가 될까 두려우나 몸이 이미 늙고 길이 또한 멀어 책임을 질 수가 없어 조카 문식(文植)에게 부탁하여 쓸 만한 재목을 가려 벌채하였는데 경비가 준비되지 못하여 부득이 약간 남은 땅을 팔아 경비를 채운 연후에 대사를 마쳤으니 이는 과연 어쩔 수 없는 형편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그 재물을 아껴 뒤로 미루었으면 마침내 재물은 없어지고 일 또한 성사치 못하여 함께 잃어 버린 것이 두 가지였을 것이니 후회한들 어찌 미치었겠는가? 이에 뜻을 결정하고 터를 닦고 나무를 베어 세업을 이어 동서방 二칸 대청 二칸 재각을 세우니 그 검소하지도 않고 사치스럽지도 않으며 제도와 원대한 규모는 우리 자손으로 하여금 동동촉촉 공구한 마음을 가져 대대로 수성할 것을 경계한 뜻이다. 낙성한 날에 문식을 불러 말하기를, 『네 이제 강장한 나이에 설혹 가사가 바쁘더라도 사이사이 틈을 내어 가서 살펴보고 혹 비가 새거나 뚫어지는 피해가 있으면 그때그때 보수하여 훼손이 안 되도록 명심하기를 바란다. 나는 노병이 날로 더하여 운명이 박두하니 비록 하고자 하나 할 수 없는 형편이다. 뒤에 이 재각에 오른 자 항상 끼친 규모를 더럽히지 말 것을 생각하여 방과 담을 소제하고 기둥과 추녀 끝을 수리하여 영원토록 전한 것이 잘 이어 나가고 기술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하였다. 이미 선영께 고하고 후손에게 권면하여 삼가 기록하고 시를 이렇게 지었다. 말갈기 무덤이 높은 곳에 한 집이 일어나니 馬鬣墳高起一堂 애연한 효도 생각이 때로 감동하여 길도다 藹然孝思感時長 오르내린 영혼이 항상 있는 것 같으니 精靈 陟降常如在 모든 자손이 오르내릴 것을 어찌 감히 잊으리오 諸子登臨豈敢忘 저 송추를 우러러보매 더욱 공경하고 瞻彼松楸尤可敬 서리와 이슬을 밟음에 슬픔이 배나 더한다 履玆霜露倍堪傷 잃지 않고 지키고 영원히 전하면 守而不朽傳之遠 대대로 우리 자손 복록이 창성하리라 來世我孫福祿昌 불초손(不肖孫) 영묵(泳默) 기(記)
 
1. 문헌 목록 〉19. 19世 〉33. <부정공>학생공휘진삼묘갈명(學生公諱鎭三墓碣銘)
1. 문헌 목록 〉19. 19世 〉35. <부정공>연당기(蓮塘記)휘병휴(諱炳休)